광주북구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건강정보
우울증은 매우 흔한 병입니다.
특히 최근 들어 청소년과 노인층에서 우울증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울증에 걸린 사람 중 25%만이 치료를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우울증의 조기 진단, 치료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2001년 WHO 자료에 의하면 주요 우울장애는 주요 장애 및 사망원인 질환 중 4번 째를 차지하고 있으며 2020년이 되면 2번 째에 위치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이미 15세-44세 사이 연령에서는 2위의 장애에 해당되기도 합니다.
우울증은 여러 신체 증상의 위험성을 높이기도 하는데 심근경색은 일반인에 비해 5배, 노인에서 연간 사망률이 정상인에 비해 2.5배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당뇨, 협심증과 같은 일반 신체질환보다 우울증에 걸린 경우 일의 능률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어느 누구도 항상 평상심을 유지할 수 없습니다. 하루 혹은 일주일에 몇 번씩 기분이 좋았다가 나빴다가 하는 변화는 정상적입니다. 하지만 그 변화의 정도가 크지 않습니다. 가까운 사람의 사망, 이혼과 같은 상실, 실패나 좌절을 경험하면 일상적인 수준 이상으로 기분이 저하되고 슬픔을 느끼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는 재난에 대한 반응으로 이해할 만한 수준으로, 우울한 감정의 정도가 가볍고 지속시간이 짧으며 개인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력이 적습니다. 기분전환을 하거나 시간이 지나면 대부분 정상수준으로 좋아집니다. 하지만 우울증은 정상반응이 아니라 치료하지 않으면 몇 달, 몇 년이라도 지속되고 스스로 극복하기 어려우며 최악의 경우 자살에 이르는 심한 우울이 지속됩니다.
그렇다면 언제 내가 우울증이 아닐까 의심해봐야할까요?
이러한 우울증이 지속되면 생각하는 방식과 세상을 바라보고 받아들이는 방식이 비틀리면서 모든 일을 자기 탓으로 돌리고 이런 불행이 평생 지속되고, 온 세상이 모두 부정적으로 보입니다. 우울증 환자들이 흔히 겪는 생각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울 증상은 기본적으로 우울하고 에너지의 저하, 슬픔과 집중력의 저하를 동반하나 연령과 성에 따라 다르게 표현되기도 합니다.
약물치료에 대한 오해
우울증에 대한 약물치료는 ‘중독과 의존’이라는 오해와 편견으로 인해 치료를 지연시키고 방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오해들은 환자분들이 심한 고통을 더 오래 겪게하고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쳐 만성화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약물치료에 대해 의심이 들거나 부작용이 걱정되신다면,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와 상의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치료기간은 어떻게 되나요?
치료를 받지 않는 우울증은 3개월에서 12개월 정도 지속이 됩니다. 치료를 시작할 경우 대부분의 경우 석 달 안에 호전을 보이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6개월 이상의 유지치료가 필요합니다. 항우울제 약물 치료를 하는 경우 1.수면, 식욕회복(수일-2주), 2.활력 호전(2-3주), 3. 우울 등 주요 증상의 호전(3-4주) 순으로 증상의 호전을 보이게 됩니다.
스스로를 돕는 방법
우울증의 치료는 의사가 일방적으로 하고 환자는 기다리기만 하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우울증을 겪고 있다고 하더라도 이를 조절하고 극복하기 위해 스스로 노력한다면 좀 더 나은 결과를 빨리 얻을 수 있습니다. 다음은 환자 스스로 자신을 돕는 방법들입니다.
주변에서는 어떻게 도울 수 있나요?
우울증을 겪는 환자분들의 주변, 특히 가족들도 많은 고통을 겪습니다. 그리고 일단 진단을 받고 치료를 시작하면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곤란을 겪는 수가 많습니다. 특히 자살을 기도했던 환자의 가족은 증상이 어느 정도 호전된 후에도 항상 불안하고 재발의 두려움을 느낍니다. 환자 가족이 어떠한 마음가짐을 가지고 환자를 대해야 하는 지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